기록문화실

역사문화실
옛 사람, 지난 시대는 어떤 기록을 남겼을까?

그 기록에는 무슨 사연이 담겨 있을까? 그리고 기록물의 모습은 요즘과 어떻게 다를까? ‘고문헌’으로 통칭되는 각종 기록물을 통해 옛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시대의 고민, 역사의 쟁점을 엿볼 수 있는 공간, ‘기록문화실’은 우리 삶에 있어서, 또는 역사에서 기록의 의미와 가치를 생각해보는 공간이다.

기록문화실의 전시자료는 오랜 세월 화성을 지켜온 문중이나 단체에서 소장해온 기록물을 중심으로, 전적, 공·사문서, 기록이 있는 그림 등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고문헌이다. 정조의 야망, 그 든든한 지지기반 초계문신들의 시험답안지 ‘시권’, 아들이 과거에 급제하자 잔치를 열어주고 특별히 재산을 떼어주며 작성한 ‘별급문기’의 경사스런 분위기, 가난을 못 이겨 처와 딸을 노비로 팔아야 했던 ‘자매문기’의 슬픈 사연을 만날 수 있다.

  • 여러면석기(다각면원구 多角面圓球)
    홍진문을 수원도호부사에 임명하는 고신

    국왕-홍진문 / 1648년(인조) / 남양 홍씨 정효공파

    홍진문을 분충찬모정사공신 가선대부 행 수원도호부사 남창군 奮忠贊謨靖社功臣 嘉善大夫 行 水原都護府使 南昌君으로 임명하는 고신告身.홍진문은 인조 26년(1648) 6월에 임명되어 효종1년(1650) 정월 병으로 파직되기까지 1년 7개월여 동안 수원도호부사로 재직하였다.

  • 김의를 장용영 초관으로 임명하는 차접
    김의를 장용영 초관으로 임명하는 차접

    장용영대장壯勇營大將김의 / 1790년(정조14) / 해풍 김씨 남양쌍파

    장용영대장이 전훈련원前訓鍊院 정正 김의를 장용영 초관哨官으로 임명하는 차접差帖. 장용영은 정조시기 창설된 군영으로, 한양의 내영內穎과 화성 유수부의 외영外營으로 운영되었다. 김의는 이후 정조 20년(1796)에도 장용외영 친군위별장 壯勇外營 親軍衛別將으로 임명되어 장용영에서 두 번 근무하였다.

  • 차도항을 어진봉안각 위장으로 임명하는 고신
    차도항을 어진봉안각 위장으로 임명하는 고신

    2-7 / 국왕-차도항車道恒 / 1794년(정조18) / 연안차씨 강렬공파

    건릉乾陵 59년 차도항을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어진봉안각 위장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 御眞奉安閣 衛將으로 임명하는 고신告身. 어진봉안각 위장은 현륭원 내에 정조의 초상화를 모신 어진봉안각을 관리하는 직책이다. 이 고신에는 발급월일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정조 17년(1793) 11월 차도항을 동지중추부사에 단독으로 추천하는 기록과 봉안각 위장 윤치홍尹致宖과 차도항에게 각각 궁자弓子 1장씩을 상으로 내리라는 정조 18년 1월 초에 발급된 것으로 보인다.

  • 금오계첩金吾契帖
    금오계첩金吾契帖

    1811년(순조 11)추정 / 거창 신씨

    의금부 관원들이 친목도모를 목적으로 구성한 모임의 장면과 참석자를 수록한 첩이다.계회도에는 바깥문과 안문, 마당에 문지기가 지키고 있고, 관아건물의 좌측 내부에 10명의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들이 둘러 앉아 있는 모습이 보인다.

  • 신이복愼爾復 초상 초본
    신이복愼爾復 초상 초본

    18세기 / 거창 신씨

    신이복(1698~1786)은 1729년(영조5)문과에 급제한 후 성균관전적, 예조좌랑, 병조참관 등을 역임하고 정2품 자헌대부에 올렸다.

    이 초본은 초상을 그리는 단계에서 처음으로 인물을 묘사하는 밑그림이다.

  • 소지所志
    소지所志

    1774년(영조 50) 추정 / 수성 최씨

    수원부의 유생62명이 수류면(현재 장안면) 독정리의 정씨부인에게 열녀 정려를 내 달라고 요청하는 소지이다. 정씨는 남편과 딸이 죽자 남편을 따르겠다는 유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.